전 세계 홍역 유행 중, 해외여행 전 접종! 여행 후 발열, 발진 있으면 홍역 의심!
- 최근 국내 홍역 환자(18명) 중 베트남 방문력 환자가 13명(1차 백신접종 이전 시기 영아 4명 포함, ‘24.12~’25.3.6.)
- 면역체계 취약한 1세 미만 영유아는 홍역 유행국가 방문 자제, 불가피한 경우 반드시 백신 접종 후 출국
- 해외여행 후 발열 동반 기침, 콧물, 결막염 등 증상이 있는 경우 홍역 의심 진료
날씨가 풀리면서 해외여행을 계획하시는 분들이 많을텐데요,
현재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중으로, 홍역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4년 홍역환자 수는 약 33만 명으로(’25.2.11. 기준) 유럽, 중동, 아프리카 순으로 많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여행하는 동남아시아, 서태평양지역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해선 홍역에 대해 바로 알고, 예방접종이 꼭 필요한지,
홍역에 노출되었을떈 어떤 증상이 있고,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등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그 내용에 대해서 1, 2편으로 나눠 자세히 다뤄보려고 합니다.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t)
홍역은 Paramyxoviridiae과의 Morbillivirus속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감염시 전신성 질환을 유발합니다.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 내 침입해 바이러스 혈증으로 진행되며, 호흡기계 및 다른 장기에도 감염을 일으켜 심할 경우 폐렴, 급성 뇌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홍역바이러스는 인간만이 유일한 숙주이며
주로 호흡기 분비물 등의 비말에 의해 전파되고, 공기 전파도 가능하기 때문에
예방접종 및 마스크 착용, 손씻기 위생이 코로나 상황 때만큼이나 정말 중요합니다!!
홍역은 온대 지방에서 늦은 겨울부터 봄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감염력이 강하여 감수성 있는 사람이 노출 되었을 떄 90% 이상에서 감염되고,
발진 발생 4일 전부터 4일 후까지 전파가 가능하며 면역저하자에게는 증상이 있는 동안 감염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기간동안에는 호흡기 격리(공기전파 주의)가 필요합니다.
▶증상: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홍반성 반점구진 발진, 구강 점막에 Koplik 반점이 특징적이나
이 외에도 인후통, 두통, 오한, 근육통 등의 기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홍역 발진은 이마의 머리선, 귀 뒤에서 먼저 생겨 머리부터 발 방향으로 번지는데,
나타났던 순서대로 소실되면서 갈색을 띠게 되며 작은 겨 껍질 모양으로 벗겨지고,
보통 6-7일 지속됩니다.
▶합병증: 홍역 환자의 약 30%에서 최소 하나 이상의 합병증이 발생하며
주로 어린 소아와 면역저하자에서 더 흔히 발생합니다.
중이염, 설사, 구토가 흔한 합병증이나 폐렴 또는 급성 뇌염이 발생해
심할 경우 사망 또는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긴 사례도 있습니다.
▶ 진단: 임상적인 특징 및 홍역 바이러스의 분리, PCR 검사,
특이 IgM 항체 양성, 급성기에 비해 회복기의 특이 IgG 항체가의 증가.
▶ 치료: 대증적 치료.
비타민 A 투여로 중증도와 치사율을 낮추고,
중증 감염자 또는 면역저하자에게 제한적으로 ribavirin 투여.
감염되면 무서운 질병이지만!
지피지기, 백전백승!! 정확히 알고나면 예방이 가능합니다!
2편에서 홍역 예방접종이 꼭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언제 어디에서 맞을 수 있는지, 예방접종에 대한 모든 것,
그리고 홍역 노출이 의심될 땐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겠습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세계 홍역 유행 중, 해외여행 전 백신 접종으로 예방하기!!(2편) (0) | 2025.03.19 |
---|---|
어린이 국가 필수 무료 예방접종 알아보기 (0) | 2025.02.28 |
중학교 입학생을 위한 예방접종 알아보기 (0) | 2025.02.26 |
초등학교 입학생을 위한 예방접종 알아보기 (0) | 2025.02.26 |
예방접종 이력 조회 & 필수 접종 알아보기 (0) | 2025.02.14 |
바이러스 벡터 백신과 그 활용: 새로운 백신 개발의 진전 (0) | 2025.02.05 |
희귀 감염병 예방 백신: 덜 알려진 필수 예방접종 총정리 (0) | 2025.02.05 |
백신 보관과 유통 과정: 콜드 체인의 중요성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