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HPV(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의 종류와 효과

by editor0128 2025. 1. 30.

 

1.  HPV(인유두종 바이러스)란? 감염 경로 및 질병 위험성

(Human papillomavirus (HPV))

HPV(인유두종 바이러스) 는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로 불리며, 주로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다. 현재까지 200종 이상의 유형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일부 유형은 자궁경부암, 항문암, 구강암과 같은 심각한 암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HPV 16형과 18형은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생식기 사마귀(곤지름) 및 기타 HPV 관련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HPV 감염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일부 유형은 체내에 지속적으로 남아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경우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사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감염을 일으킬 위험이 높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HPV 백신 접종이 예방 전략의 핵심으로 작용한다.

 

HPV(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의 종류와 효과

 

2.  HPV 백신의 종류와 예방 효과

현재 사용되는 HPV 백신에는 주로 세 가지 종류가 있다: 2가 백신(서바릭스), 4가 백신(가다실), 9가 백신(가다실9). 각 백신은 특정 유형의 HPV 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며, 예방 효과는 다음과 같다.

  • 2가 백신(서바릭스): HPV 16형과 18형을 예방하며, 자궁경부암 예방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 4가 백신(가다실): HPV 6형, 11형, 16형, 18형을 예방하며, 자궁경부암뿐만 아니라 생식기 사마귀(곤지름)도 예방할 수 있다.
  • 9가 백신(가다실9): 기존 4가 백신에서 더 확장된 유형인 HPV 31형, 33형, 45형, 52형, 58형까지 예방하며, 더 넓은 범위의 HPV 감염을 막아준다.

HPV 백신은 예방 접종을 통해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연구에 따르면 백신 접종 후 HPV 관련 암의 발생률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방 접종을 통해 HPV 감염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3.  HPV 백신 접종 대상 및 일정

HPV 백신은 일반적으로 9~14세 사이의 청소년에게 접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성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접종하면 예방 효과가 극대화된다. 그러나 성인도 접종이 가능하며, 만 26세까지 권장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45세까지도 접종을 허용하고 있다.

접종 일정은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9~14세: 2회 접종(0개월, 6~12개월 후)
  • 15세 이상: 3회 접종(0개월, 2개월 후, 6개월 후)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나 특정 고위험군에 속하는 경우 의료진과 상담 후 접종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HPV 백신은 감염 예방을 목적으로 하며, 이미 감염된 경우 치료 효과는 없으므로 조기 접종이 중요하다.

 

 

4.  HPV 백신 접종 후 기대 효과와 부작용

HPV 백신 접종 후 가장 큰 기대 효과는 자궁경부암, 항문암, 구강암 등 HPV 관련 암 발생률을 현저히 낮추는 것이다. 실제로 백신 접종을 받은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 전 단계 병변(자궁경부 상피내종양, CIN)의 발생률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생식기 사마귀 발생률도 접종 이후 현저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HPV 백신은 안전성이 높지만, 일부 경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주사 부위 통증, 부기, 발적
  • 가벼운 발열, 두통, 피로감
  • 드물게 어지러움, 일시적인 실신(주사 후 휴식 권장)

대부분의 부작용은 경미하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된다. 하지만 극히 드물게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백신 접종 후 15분 이상 관찰하는 것이 권장된다.

HPV 백신 접종은 HPV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 중 하나이며, 특히 조기 접종을 통해 암 예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HPV 관련 질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접종 일정을 지키고 예방에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하다.